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카톡 업데이트 25.8.0 대개편, 왜 최악이라 불릴까?

by 슬기로운랑빠 2025. 9. 27.

 

2025년 9월, 카카오톡은 대규모 카톡 업데이트를 단행했습니다. 이번 업데이트의 가장 큰 이유는 카카오톡의 체류 시간이 점점 줄고, 젊은 세대가 텔레그램, 인스타그램 DM, 디스코드 등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점이었습니다. 이에 카카오는 사용자를 붙잡기 위해 메신저 이상의 기능, 즉 소셜 미디어화를 시도했습니다. 저도 아침에 일어나 카톡 사진이 엄청 커져있는것을 보고 부담스러워 고생했었는데요. 그래서 카톡 업데이트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카톡 업데이트

 

주요 변경 사항

 

카카오톡 25.8.0 업데이트의 핵심은 친구 탭과 오픈 채팅 탭의 개편입니다. UI가 전면적으로 바뀌었으며, 특히 이 두 공간은 광고를 노출할 수 있는 구조로 재편되었습니다. 하지만 구버전과 신버전을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이 제공되지 않아 강제적인 변화가 이루어졌습니다. 이 때문에 카카오톡 대개편은 시작부터 논란에 불을 지폈습니다.

 

카카오톡 대개편에 대한 사용자 반응

 

“역대 최악의 개편” 논란

 

많은 사용자들이 이번 카톡 업데이트를 “역대 최악의 대개악”이라 부르고 있습니다. 메신저 본연의 기능보다는 광고와 체류 시간 연장에 초점을 맞추면서 카카오톡은 더 무겁고 불편한 앱으로 변했다는 평가가 많습니다. 심지어 “쉰내 나는 인스타”라는 조롱까지 등장하며, 사용자들은 카카오톡이 메신저로서의 본질을 잃었다고 비판하고 있습니다.

 

구버전 유지 움직임

 

자동 업데이트가 적용된 이용자들 중 상당수가 불만을 표출하며 구버전 유지를 선택하고 있습니다. 일부는 자동 업데이트 기능을 꺼버리고 기존 버전을 계속 사용 중입니다. 이는 카카오가 광고 수익 확대를 목표로 한 UI 강제 변경 때문에 발생한 현상으로 풀이됩니다.

 

카톡 업데이트와 카카오 주가 영향

 

이번 카카오톡 대개편 발표 직후 카카오 주가는 6% 이상 폭락했습니다. 투자자들 역시 이용자 반발을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특히 광고 계약이 이미 체결된 상태라 업데이트 롤백 가능성이 낮다는 점에서 시장에서는 장기적 리스크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카카오의 광고 전략과 SNS화 시도

 

광고 수익 확대가 핵심

 

카카오는 이번 카톡 업데이트를 통해 명확한 수익 구조를 노렸습니다. 친구 탭과 오픈 채팅 탭을 광고 삽입이 가능한 형태로 개편함으로써 체류 시간을 늘리고 광고 노출을 극대화하려는 전략을 취한 것입니다. 그러나 사용자의 선택권을 배제한 강제적 변화는 결국 카카오의 광고 중심 경영 전략이 드러난 사례라 할 수 있습니다.

 

SNS화 논란

 

이번 업데이트는 메신저 본연의 기능보다 SNS화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점에서 큰 반발을 사고 있습니다. 카카오톡은 원래 간편한 메시징 서비스로 자리 잡았지만, 이제는 숏폼 콘텐츠, 오픈채팅 확장, 프로필 기반의 피드 기능까지 도입하며 점점 소셜 미디어와 닮아가고 있습니다. 일각에서는 이러한 변화가 오히려 사용자 충성도를 떨어뜨리고, 젊은 층의 외면을 가속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됩니다.

 

향후 전망: 카카오톡의 미래는?

 

단기적 영향

 

현재까지는 대규모 사용자 탈퇴 움직임은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이는 계정을 삭제하지 않고 단순히 사용을 중단하는 방식으로 다른 메신저로 이주하는 패턴이 반복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과거 PC통신에서 네이트온, 다시 카카오톡으로 옮겨갔던 전례처럼, 사용자들은 집단적으로 행동할 수 있습니다.

 

장기적 위험

 

10대~20대 이용자들이 이미 텔레그램과 인스타 DM을 주요 소통 수단으로 활용하는 상황에서 이번 카카오톡 대개편은 오히려 이탈을 가속화할 수 있습니다. 만약 카카오톡이 신세대의 선택을 받지 못한다면, 과거 싸이월드나 버디버디처럼 구시대의 유물로 전락할 위험도 있습니다.

 

카카오 그룹 전반에 미칠 파장

 

이번 카톡 업데이트 논란은 단순한 메신저의 문제가 아닙니다. 카카오페이, 카카오뱅크, 멜론, 카카오쇼핑 등 카카오의 주요 서비스에 대한 불매 움직임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이는 그룹 전체 수익 구조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마치며

 

2025년 카톡 업데이트는 단순한 UI 변경이 아닌, 카카오 그룹의 생존 전략이 반영된 대개편이었습니다. 하지만 사용자의 신뢰와 만족도를 희생하면서까지 광고 수익을 늘리려는 시도는 오히려 장기적인 리스크로 돌아올 가능성이 큽니다.

 

결국 카카오톡의 미래는 사용자 중심의 선택을 얼마나 존중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